본문 바로가기
사회+문화 이슈

[아파트 재건축] 치솟는 노후 아파트 가격, 34년된 아파트가 9억!

by J.Daddy 2021. 7. 23.
반응형

안녕하세요,

 

올해 상반기 서울의 20년 초과 노후 아파트값 상승률이

5년 이하 신축 아파트의 2배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실거주 2년 의무를 피하려 재건축 추진 속도를 올린 단지가 늘고

규제 완화 기대감이 반영된 탓으로 볼 수 있습니다.

 


 

한국 부동산원의 자료에 따르면, 

주간 누적 기준 서울의 준공 20년 초과 아파트값은 

올해 1~6월 3.06% 상승했습니다.

이에 비해 같은 기간 준공 5년 이하인 신축 상승률은 

1.58%에 그쳤습니다.

최근 주택 시장에 부는 '똘똘한 한 채'의 영향으로

신축 아파트 상승률이 노후 아파트보다 높은 게 일반적이지만,

재건축을 추진 중이라면 얘기가 달라집니다.

재건축을 통해 각종 첨단 설비와 입주민 시설이 갖춰진다는 기대감에

가격의 상승폭이 주변 아파트를 압도하기 때문입니다.

 

노원구에서 준공 34년을 맞은 상계동 상계 주공 6단지(전용 58.01㎡)는 

지난 7월 6일 9억 원에 실거래가 이뤄졌습니다.

이는 신고가로 지난해 12월 거래가 수준인 6억 5000만~7억 4000만 원보다

6개월 만에 1억 6000~2억 5000만 원 오른 수준입니다.

준공 후 44년이 지난 송파구 잠실주공 5단지(전용 82.51㎡)는

5월에 28억 1100만 원으로 손바뀜 되었습니다.

이 주택형은 지난 1월 23억 원에 거래되었던 바 있습니다.

압구정 한양 8차(210.1㎡)도 지난 9일 66억 원에 신고가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1년 전 거래가인 47억 8000만 원보다 

무려 18억 2000만 원이나 오른 가격입니다.

 

작년 중순부터 올해 초까지 강남구 개포동 주공 5·6·7단지를 비롯해

서초구 잠원동 신반포 2차, 방배동 신동아, 송파구 송파동 한양 2차,

용산구 서빙고동 신동아, 양천구 신정동 수정아파트 등이 

재건축 조합설립 인가를 받으며 사업 추진에 박차를 가했습니다.

 

정부가 작년 6.17 대책에서

투기과열지구 내 재건축 아파트를 조합설립 인가 이후에 구입하면

입주권을 주지 않겠다는 방침을 밝히자

이를 피하기 위해 조합들이 사업 추진을 서두른 것입니다.

압구정동 일원의 재건축 단지들도 올 2월 4구역을 시작으로

5·2·4구역 등이 잇달아 조합설립 인가를 받았습니다.

 

지난해 상대적으로 가격 상승이 더뎠던 구축 아파트값이

올해부터 본격적인 가격 키 맞추기에 나선 것으로 보입니다.

압구정 등 재건축 단지가 사업 추진에 속도를 내면서

이 같은 분위가 서울 전역으로 확산된 것 역시 원인이 될 수 있겠죠.

 

4.7 보궐선거 과정에서 유력 후보들이 

부동산 규제 완화를 공약한 것도

재건축 아파트값 상승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오세훈 시장은 당선 직후 재건축 아파트값이 치솟자

압구정·여의도·목동 등 4개 지역을 1년간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었지만,

거래만 줄었을 뿐 호가 상승은 계속되고 있습니다.

 

문제는 치솟은 재건축 아파트값이 

해당 지역 전체의 집값 상승을 끌어올리고 있다는 겁니다.

실제 올해 상반기 서울 아파트값은 주간 누적 기준 2.29%에 달했습니다.

구별로는 노원구가 3.80%로 가장 많이 올랐고,

송파구, 서초구, 강남구, 마포구, 양천구, 도봉구 순으로 집계되었습니다.

상승률이 서울 평균을 웃도는 이들 지역은

주요 재건축 단지를 품고 있다는 공통점을 지니고 있습니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가 재건축 조합원의

2년 실거주 의무 방침을 백지화하면서 

재건축 시장은 혼란스러워하고 있는 분위기입니다.

앞서 당정은 재건축 추진 단지가 서울 아파트값을 끌어올린다며

6.17 대책을 통해 실거주 2년 요건을 채우지 않으면

재건축 후에 분양권을 주지 않겠다는 방침을 내놨었습니다.

 

하지만, 대책 발표 직후 지나친 규제라는 지적과 함께

분양권을 받기 위해 집주인이 세입자를 내보내는 사례가 늘면서

실거주 2년 의무 조항을 삭제하기에 이르렀습니다.

전세 물건이 줄어 전세난이 심화되었다는 비판도

정책 철회에 영향을 미쳤습니다.

 

지난 1년 사이 이 규제를 피해 재건축 아파트를 판 사람들은

스스로가 최대 피해자라고 입을 모으고 있습니다.

KB리브 부동산에 따르면 서울의 평균 아파트값은

지난 1년 사이 2억 1774만 원 뛰어올랐습니다.

부동산 관련 카페에서는 

'정부가 국민을 상대로 실험했다'

'실거주 요건 채우려고

수천만 원 들여 인테리어하고 들어갔는데 멘붕이다'

라는 글들을 어렵지 않게 볼 수 있습니다.

 


 

정책을 만들 때는 해당 정책이 국민의 삶에 단기·장기적으로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지 충분히 고려하고

부작용 또한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입안해야 하거늘,

이번 정부의 대책은 대책 없는 대책을 수없이 남발하며

엄청난 부작용을 만들어내고 있습니다.

 

몇 번을 말해도 아깝지가 않습니다.

제발, 말도 안 되는 고집으로 일관할 것이 아니라

정책들을 재검토해서

효과가 미미하거나 없다고 판단되는 것들은

수정을 하길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