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문화 이슈

재건축 진행에 좋아해야하는데, 왜 발칵 뒤집혔을까?

by J.Daddy 2022. 9. 10.
반응형

안녕하세요,

 

재건축을 추진 중인 한강변 노후 아파트에서 

한강 조망권이 갈등의 불씨가 되고 있습니다.

재건축이 진행된다고 좋아해야 할 마당에 

대체 어떤 이유들이 있는 걸까요?

 


 

 

현재 조망권을 확보하고 있는 주민과

비조망권 조합원 간의 갈등이 커지면서

부랴부랴 설계를 초고층으로 변경하거나

조망을 확보한 조합원이 

수억 원의 분담금을 더 내는 방안까지 거론 중인데요.

과거 조망권 개념이 없던 1980년대 전후 지어진 아파트들은

강바람과 소음 등의 이유로 소형 아파트를 강변 쪽에,

중대형은 남향 위주로 단지 안쪽에 배치했는데

재건축을 앞두고는 이런 구조가

갈등의 새로운 요인이 되고 있는 셈입니다.

 

서울시와 주택정비 업계에 따르면

서울 서초구 신반포 2차 재건축조합은

용적률 상향과 초고층 건축 등의 내용을 담은

신속 통합 기획안을 시에 요구하고 있습니다.

1978년에 지어진 이 단지는

2003년부터 재건축을 추진했으나

중소형 가구인 한강변 6개 동과 안쪽 대형 평형 가구로 나뉘어

조망권을 두고 다투는 바람에 사업이 지연되어 왔습니다.

갈등의 해결책으로 신통 기획을 통해 

지역 최초로 초고층 건축을 추진 중이긴 하지만

신통 기획에 들어갈 경우

소형 가구가 과도하게 늘어난다는 이유로

일부 주민들은 반발하고 있습니다. 

반포동은 주거지 성격이 강한데, 

특정 단지만 용적률과 고도를 높여준다면 

과밀화 문제와 형평성 시비 등이 뒤따를 우려도 있습니다.

 

용산구 한강 삼익아파트 재건축조합도 

조망권 확보를 위해 동을 줄이고, 

고층으로 짓는 방식으로 설계를 변경 중입니다.

최근 조합을 설립한 여의도 한강변 목화아파트도 

조망권을 최대한 확보하기 위해 

초고층 재건축을 추진 중입니다.

목화아파트는 단지 남측에 인접한 866가구 규모의 삼부아파트와

통합 재건축을 시도했지만 조망권 문제로 갈등을 빚다

분리 재건축으로 돌아서게 되었습니다.

서울시가 한강변 목화아파트 자리를 공원화하고

삼부아파트 자리에 통합으로 단지를 지으라 요구하자

소형이 많지만 한강 조망권을 가진 목화 주민들은

단독 재건축을 선택했습니다.

 

1980년 전후 건설된 한강변 아파트의 상당수는

중대형이 단지 안쪽에 자리 잡고,

소형이 한강 쪽에 배치되어 있습니다.

재건축 추진 과정에서 동·호수 배정 우선권을 놓고

대형과 소형 주민 간에 갈등이 심해질 수밖에 없는 구조입니다.

그 당시만 하더라도 한강 조망권이라는 말이 생소했지만,

지금은 강뿐만 아니라 바다, 골프장 등이 보이느냐에 따라

같은 단지에서도 집값이 다 다르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반포동 아크로리버파크와 청담자이 등

주요 한강변 신축 단지의 전용면적 84~89㎡ 아파트는

한강 조망 여부에 따라 3~4억 원의 가격 차이가 납니다.

 

최근 일부 재건축 단지에서는 조망권과 층수 등으로

세밀하게 등급을 나눠 동일 등급에서 동·호수를 뽑고, 

분담금을 조정하는 방식으로 갈등을 피하고 있습니다.

 

건설사들은 판상형 설계 대신

'+'자 모양이나 'ㄱ'자 타워형 건물을 엇갈리게 배치하는 등 

최대한 한강 조망권을 많이 확보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것에

공을 들이고 있습니다.

아파트 내부에서도 거실을 3면 또는 2면 개방형으로 설계하고

북서, 북동쪽을 보거나 아예 북향으로 짓기도 합니다.

과거에는 부엌과 작은방 또는 

복도식 아파트의 복도를 한강 쪽으로 배치했습니다.

아파트 단열과 냉난방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거실을 꼭 남향에 둘 필요성이 적어지게 된 것입니다.

 


 

하지만 이렇게 발전한 건축 설계로 인하여

갈등이 벌어지는 사례도 있습니다.

1000가구 이상의 대단지 재건축을 추진 중인

청담동 삼익아파트의 경우에는,

한강 조망이 가능해진 가구가 당초 계획보다 늘어나자

일부 조합원이 해당 가구에 분담금을 더 낼 것을 주장하며

마찰을 빚고 있다고 하네요.

 

재건축이 되어도 문제, 

안되어도 문제,

사람이 살아가는 게 이렇게나 어렵습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