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문화 이슈

이사해야 하는데 전세금 돌려받지 못한다면?

by J.Daddy 2022. 7. 22.
반응형

안녕하세요,

 

이삿날이 코앞인데 신규 세입자가 들어오지 않아

전세금을 돌려받지 못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사하려면 대출이 필요하기 때문에

이사할 곳에 전입신고를 해야 한다는 것이 문제입니다.

전세금을 돌려받지 못한 채 이사를 하려면

'임차권 등기'를 해야 한다는 사실은 알겠지만

기다릴 여유가 없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임차권등기란 다른 곳에 이사하더라도 

세입자로서의 '대항력'과 '우선변제권'이

유지되는 제도를 말합니다.

주로 세입자 전세금을 돌려받지 못한 채 

이사해야 하는 상황에 이용됩니다.

 

하지만 급히 이사해야 하는 세입자에게 

임차권등기의 전제 조건은 단점이 될 수 있습니다.

완료까지는 평균 2~3주 기간이 소요되기 때문입니다.

이사 갈 곳의 계약이나 대출 일정이 맞지 않는다면

세입자가 불편을 겪을 수 있습니다.

임차권등기는 기본적으로 계약이 해지되어야만

신청이 가능하기 때문에 계약 기간 중

미리 신청할 수도 없습니다.

 

과연 이럴 때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세입자가 전입신고를 빼는 순간 

대항력과 우선변제권이 상실되기 때문에

집주인에게 문제가 발생하면 

전세금 돌려받기가 어려워질 수도 있습니다.

 

이 경우 세입자 가족 중 일부를 남겨둔다면

기존에 살았던 집과 새로 이사할 집 모두

대항력과 우선변제권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즉, 부부가 함께 거주한 경우라면

배우자 한 명을 남겨두고

대출을 받을 계약 당사자가 이사할 곳에

전출하면 되는 것입니다. 

 

기존 집에서는 부부가 함께

전입신고와 확정일자를 받은 상태이기 때문에 

전출하는 배우자만 전입신고를 해야 합니다.

 

꼭 부부 사이가 아니더라도 

성인이 된 자녀를 담겨두고 부모가 전출해도 되고,

주민등록상 함께 거주하는 가족이라면 

누구든 세입자로서의 대항력과 우선변제권이 유지될 

법적 근거가 될 수 있습니다.

만약 대출 문제가 아니라면 새로 이사할 곳에

계약 당사자가 아닌 가족 누구든 

먼저 전출시켜도 문제는 없다는 것이죠.

 

이렇게 가족 중 일부를 남겨두더라도

임차권등기 신청은 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임차권등기는 서류상 세입자의 권리를

그대로 유지시켜주는 안전장치일 뿐 

실제로 거주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세입자는 명도 의무를 지켰기 때문에

집주인에게 전세금 반환 소송과 지연 이자를 청구할 수 있는

법적 근거가 되는 것입니다.

 

가족 중 일부를 남겨두는 행동은

세입자가 실제로 집을 점유함으로써

집주인에게 동시이행을 주장하는 행위일 뿐이라는 뜻입니다.

 


 

임차권등기가 완료되면 더 이상 

해당 주택에 거주할 필요가 없습니다.

이때는 남겨뒀던 가족도 새로 이사한 곳으로

전출시키면 됩니다.

 

집을 집주인에게 인도한 후에도 

전세금을 돌려주지 않는다면

전세금 반환 소송을 제기할 수 있고,

전세금 반환이 이뤄질 때까지의 

지연이자까지 받을 수가 있습니다.

 

 

 

반응형

댓글